ping
상태 컴퓨터에 일정한 크기의 패킷을 보내 상태 컴퓨터가 응답하는지를 점검하는 명령어이다.
사용법
ping 도메인 or ip
예) ping google.com
예) ping 8.8.8.8

바이트 : 내 PC에서 32바이트의 데이터 패킷을 보냈더니 상대도 응답으로 32패킷을 보냈다.
시간 :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하는데 걸린 시간.
TTL (Time to live): 내 PC 패킷은 라우터(L3)를 거칠때마다 TTL 값이 1씩 줄어드는데 이패킷이 목적지에 도달했을때 남아있는 홉의 개수
TTL이 장비를 지날때마다 1홉씩 줄어들어 결국 TTL=0이 되면, 이 패킷은 소멸되어 사라진다.
즉 TTL은 패킷이 살아있는 홉수를 제한하므로써 트래픽의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.
홉이란?
1. 홉 (Hop)
ㅇ 홉이란 영어 뜻 자체로는 건너뛰는 모습을 의미
ㅇ 데이타통신망에서 각 패킷이 매 노드(또는 라우터)를 건너가는 양상을 비유적으로 표현
- 이러한 체계를 hop-by-hop 체제라고 함 ☞ TTL 참조
2. 다음 홉 (Next Hop)
ㅇ 목적지 네트워크까지 가기위한 바로 다음의 라우터를 말함
ㅇ 각 노드(라우터)는,
- 수신된 패킷의 헤더부분에 있는 주소를 조사하여,
- 라우팅 테이블에 있는 최적 경로 상에 있는 다음 홉 라우터 인터페이스를 찾아내어,
- 수신 패킷을 다음으로 Hop 할 라우터를 향하는 그 인터페이스에게 넘겨 전달함
3. 홉 수 (Hop Count)
ㅇ 거치게되는 라우터 수
ㅇ 例) RIP 라우팅 프로토콜의 경우
- 최대 홉 수 : 15개 (16은 `무한대`를 의미)
* 목적지 장비의 기본 홉수 (TTL)
- OS에 따라 값이 다르다.
Window = 128
Linux = 64
Cisco = 256
Mac OS = 60
참고 www.ktword.co.kr/abbr_view.php?m_temp1=1478&id=439
'프로그래밍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Php Codeigniter 다국어 Session 처리 (0) | 2020.11.23 |
|---|---|
| PHP Simple Captcha 적용해보기! (0) | 2020.11.20 |
| DB 접속정보 암호화하는 방법! + 다중 DB 연결 방법 (0) | 2020.10.12 |
| Apache mod_jk 설치방법 (0) | 2020.10.08 |
| Apache SSL 설정을 해보자 (0) | 2020.09.2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