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P구조
인터넷 상에서 모든 Host들을 관리하기 힘들어서 Network의 범위를 지정하여 관리하기 위해 쉽게 만들어낸것이다.
Host ID는 호스트들을 개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사용하게 된 것.
하나의 아이피 주소에는 Network ID와 Host ID가 존재한다.
주소로 비교해보면 이해가 쉽다.
- Network ID = 서울시 강남구 A아파트 110동 101호
- HOST ID = 내방
IP Class란
- Class의 경우 A, B, C, D, E Class로 나누어 Network ID와 Host ID를 구분하게 하기 위함..
- 나누는 이유 - IP 주소를 효율적이고 적정하게 배분하기 위함
Class 구분해보기 ( 복잡해보이지만 시험을 준비한다면 모두 외우고 있어야한다. )
* 0,128, 192, 224, 240, 255 아래 글을 보고 외우면 쉽게 외워진다~
( 각 클래스별 최상위 비트 ~ 다음 클래스 최상위 비트 까지의 숫자이다.)
!! 완전초보라면 이해를 위해 이진수 표기법부터 보고와야한다. !!
0 0 0 0 0 0 0 0
128 , 64 , 32, 16, 8, 4, 2, 1
A클래스는 00000000.00000000.00000000.00000000 - 0 ~ 127 (0.0.0.0 ~ 127.255.255.255)
B클래스는 10000000.00000000.00000000.00000000 128 ~ 191 (128.0.0.0 ~ 191.255.255.255)
- 10000000 -> 128 젤 앞쪽만 1이니까 128 부터 시작한다고 생각하면된다.
C클래스는 11000000.00000000.00000000.00000000 192 ~ 223 (192.0.0.0 ~ 233.255.255.255)
- 1100000 -> 128 + 64 = 192 부터 시작한다고 생각하면 된다.
D클래스는 11100000.00000000.00000000.00000000 224 ~ 239 (224.0.0.0 ~ 239.255.255.255)
- 11100000 -> 128 + 64 + 32 = 224 부터 시작한다고 생각하면 된다.
E클래스는 11110000.00000000.00000000.00000000 240 ~ 255 (240.0.0.0. ~ 255.255.255.255)
- 11110000 -> 128 + 64 + 32 + 16 = 240 부터 시작한다고 생각하면 된다.

호스트(HOST) - 통신을 통해 다른 컴퓨터들과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컴퓨터
패킷(Packet) - 데이터(정보)를 일정 크기로 자른것 : 데이터의 단위
데이터그램(Datagram) - IP계층의 패킷 : 버전, 헤더길이, 서비스타입, 전체길이, 식별자, 플래그, 단편화옵셋, 수명, 프로토콜, 검사합, 송신자 IP, 수신자IP, 옵션
Octet - 초기 컴퓨터들은 1바이트가 8비트만을 의미하지 않아서, 8비트를 명확히 정의 하기 위해 이 용어를 사용함. 현재엔 1바이트를 의미함
Network ID -많은 HOST들을 범위를 지정하여 나누어 관리하기 위해 만들어냄
참고
'프로그래밍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톰캣과 아파치를 같이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? (0) | 2020.09.11 |
|---|---|
| 단축 URL ( URL Shortener ) 원리와 사용법 (0) | 2020.08.20 |
| File Download (0) | 2020.08.17 |
| Index 란 무엇이고 어떤 기준을 잡아야할까 (0) | 2020.07.13 |
| OOP 5대 원칙 (SOLID) (0) | 2020.07.1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