* 이 포스팅은 git 설치가 되어있다는 전제하에 진행된다. *

 

gitLab에 접속해서 프로젝트 생성까지 마쳤다면 보이는 화면이다. 

 

화면을 보면 어떤 작업을 해야하는지 친절하게 나와있다. 

하지만 처음 설정하는 입장에선 뭐가 뭔지 잘 모르겠는 경우가 있어 기록해둔다.

명령어를 실행하기 앞서 실행 위치가 어디여야하는지부터 보자~ 

 

1. 명령어 실행 위치! 

본인이 설치하고자 하는 디렉토리로 이동해 있는 경우여야한다

예를 들어 내 프로젝트가 /home/geine/workspace/myproject 에 있다면 

해당 경로로 이동해준다. 

cd /home/geine/workspace/myproject 

 

2. 하단의 0번 상자의 명령어를 실행해준다.

등록된 이름과 이메일은 아래 이미지를 참고해서 확인할 수 있다.  

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내이름"
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"내이메일"

 

3. 빨간 동그라미 1, 2, 3 중 나의 상황을 선택한다. 

- ① : 새로운 폴더에 git 설정을 시작하려는 경우 

- ② : 기존 프로젝트를 git에 올리고 싶은 경우 

- ③ : 이미 git 으로 관리되고 있는 프로젝트를 새로운 git에 올리고 싶은 경우 

 

4. 상황에 맞는 쿼리를 실행한다. 

회색 상자 안 적혀있는 순서대로 실행해준다.

* 아래와 같은 SSH-KEY 이슈가 있을 수 있는데 

Permission denied (publickey).

fatal: Could not read from remote repository.



Please make sure you have the correct access rights

and the repository exists


 

이걸 피하고 싶다면 명령어를 실행할때 입력하는 git@1111.222.333 으로 시작하는 부분에 ip 대신 복사한 URL로 입력해준다. 

 예) git remote add origin https://111.222.333.444:8001/gitlab/test/test.git

URL은 프로젝트 상단에 위치한 clone 클릭 후 https 부분을 복사해서 실행한다. 

 

 

아차차.. !!! 

git 터미널 접속에 어려움을 갖는 분들이 있는데 

그럴땐 윈도우 검색기에 "git" 을 입력해보면 나오니 필요한 걸 클릭해서 사용하면 된다. 

 

이상 끝!! 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