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GitLab 설치
$ sudo yum install curl policycoreutils openssh-server openssh-clients
$ sudo systemctl enable sshd
$ sudo systemctl start sshd
$ sudo yum install postfix
$ sudo systemctl enable postfix
$ sudo systemctl start postfix
$ sudo firewall-cmd --permanent --add-service=http
$ sudo systemctl reload firewalld
$ curl -sS https://packages.gitlab.com/install/repositories/gitlab/gitlab-ce/script.rpm.sh | sudo bash
$ sudo yum install gitlab-ce
나는 내 로컬에 있는 프로젝트를 올리고 싶다~!!
2. 내 프로젝트가 있는 디렉토리로 이동
cd /myproject
3. 로컬 저장소 생성하기 위해 명령어 실행!
명렁어를 실행하면 .git 폴더가 생성되며 이폴더에는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파일들이 있다.
git init
4. 정보입력
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Genie"
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"myemail@gmail.com"
5. 인덱스에 파일 추가! add를 안해주면 commit 할 수 없다~ 내가 사용할 파일, 폴더들 모두 add 해준다.
git add .
6. 변경사항 로컬에 commit
// 반드시 코멘트 작성을 해야한다.
git commit -m "first commit"
7. 원격저장소 연결~ (gitlab에 들어가서 나의 프로젝트 주소를 복사해오면된다.)
git remote set-url origin https://gitlab.co.kr/gitlab/genie/hompage.git
8. 연결된 저장소 확인!
git remote -v

9. 원격 저장소에 push! 이걸 해줘야 원격저장소에 올라간다~
git push origin master
* 만약 비번 없이 하고 싶다면 아래 명령어 실행!
git config --global http.sslVerify "false"
* 만약 저장소를 지우고 싶다면 ~~~
git remote remove origin
'각종 설정방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리눅스 Centos GitLab 프로젝트 업로드! (0) | 2021.01.21 |
|---|---|
| Centos7을 설치하고 PHP 설치 및 적용하기! A-Z (0) | 2020.11.18 |
| SSH, FTP 접속 느리다면! 참고하세요 (0) | 2020.11.18 |
| 아이폰 충전기 usb 장치 인식 실패 (0) | 2020.10.26 |
| Apache) SSL 설정 샘플 + redircet (0) | 2020.09.11 |